facebook

Jul 5, 2023

차근차근 알아보는 한국말로 숫자 읽기1

hilokal-notebook-image

학습 목표(Learning Goal)

한국어에서 사용하는 숫자에 관한 표현을 익힌다. 한국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자어 표현( Sino- Korean)과 순수 한국말(Pure Korean)의 사용법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한국에서 실생활에 많이 쓰이는 표현을 익히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숫자를 세어보자.

한국에서 숫자를 세는 법 1. 순수 한국어로 먼저 시작하자. 먼저 0부터 10까지 세어보자. 0: 영, 공(이것은 순수 한국어가 없다): 한자어(Sino Korean) 1: 하나 2: 둘 3: 셋 4: 넷 5: 다섯 6: 여섯 7: 일곱 8: 여덟 9: 아홉 10: 열

숫자를 세어 보자.

10 이후는 어떻게 셀까? 11은 10+1일 더 한 것이다. 그러니 10이 열이고 1인 하나이니 열하나가 된다. 12도 마찬가지: 10이 열, 2는 둘이나 열둘이 된다. 10: 열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11, 12, 13…. 19) 20: 스물이라고 부른다. 그럼 21은? 스물하나가 된다. 스물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21, 22, 23, 24…. 29) 30:서른 30도 같은 방식 40: 마흔 50:쉰 60:예순 70: 일흔 80: 여든 90: 아흔 100: 백

나이를 한국어로 말해 보자!

나이를 말할 때는 숫자 뒤에 살을 붙인다. 0살: 빵 살, 영 살 1살: 하나 살이라고 하지 않는다. 한 살이라고 한다. 2살: 두 살(둘 살이 아니다) 3살: 셋 살이라고 하지 않는다(세 살) 4살: 네 살(4: 넷: take off ㅅ) 5살부터 10살까지는 변화 없다. 5살: 다섯 살 6살: 여섯 살 7살: 일곱 살 8살: 여덟 살 9살: 아홉 살 10살: 열 살 11살: 열한 살 12살: 열두 살 13살: 열세 살 14살: 열네 살 15살: 열다섯 살 16살: 열여섯 살 17살: 열일곱 살 18살: 열여덟 살 19살: 열아홉 살 20살: 스무 살(20: 스물: 스물 살이라고 하지 않는다) 21살: 스물한 살( 다시 ㄹ을 붙인다) 22살: 스물두 살 23살: 스물세 살 24살: 스물네 살 25살: 스물다섯 살 26살: 스물여섯 살 27살: 스물일곱 살 28살: 스물여덟 살 29살: 스물아홉 살

나이를 한국어로 말해 보자!

30: 서른 살 그럼 31부터 39까지 어떻게 읽을까? 40: 마흔 살 41~49? 50: 쉰 *보통 50부터는 살을 붙이지 않는다. 살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붙인다. 대신 이세요 혹은 이십니다(남을 얘기할 시) 혹은 입니다(이에요)를 붙인다. 그리고 나이를 연세라고 부르게 된다. 예: 아버지 연세는 쉰아홉이십니다. 자신을 말할 때:제가 예순넷입니다. 51~59? 60: 예순 61~69? 70: 일흔 71~79? 80: 여든 81~89? 90: 아흔 91~99? 100: 백( 순수 한국어를 쓰지 않는다)

다음은 한자어로 숫자를 읽어보자.

다시 1~10까지 한자어로 읽어보자. 1: 일 2: 이 3: 삼 4: 사 5: 오 6: 육 7: 칠 8: 팔 9: 구 10: 십

한자어로 숫자를 읽어보자.

11: 10+1이니까 십일이 된다. 12: 10(십)+ 2(이)=십이 13: 십삼 14: 십사 15: 십오 16: 십육 17: 십칠 18: 십팔 19: 십구 그럼 20은? 2x10이니까 이십이 된다. 다음 21(이십 일), 22(이십 이), 23(이십 삼).... 30: 삼십 31~39? 40: 사십 41~49? 50: 오십 51~59? 60: 육십 61~69? 70: 칠십 71~79? 80: 팔십 81~89? 90: 구십 91~99? 100: 백

한자어로 나이를 읽어보자

한자어로 나이를 말할 때는 그냥 간단히 숫자 뒤에 세를 붙인다. 0세(영세), 1세(일세), 2세(이세), 3세(삼세), 4세(사세), 5세(오세).... 10: 10세(십세) 11: 십+ 일= 십일 12: 십+이= 십이 13...... 20세 30세 40세 50세 60세 70세 80세 90세 100세(백세) *대화에서는 한자어를 잘 안 쓰고 뉴스 보도나 서류 작성 시 쓴다.

나이를 한국어와 한자어로 말해 보자.

질문: ~씨는(님은) 몇 살이세요? (이십니까?) ~는 몇 살이야? (몇 살이니?)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되십니까?) 연세가 어떻게 되세요? 나이가 어떻게 돼? (어떻게 되니?) 대답: 저는 ~살입니다. (이에요). 나이가 많으신 분께는 저의 아버지께서는~ 한자어로 저는~세입니다. 저의 아버지는~세이십니다. (이세요.) 저의 어머니는~ 나는 ~살이야. 나는~세야. (대화체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전화번호에 대해서 말해 보자.

한국의 전화 번호를 말할 때는 예를 들어 010 4478 9987이면 우리는 공일공(보통은 영일공이라 하지 않는다.) 사사칠팔 구구팔칠(한자어로 읽는다.) 하지만 때때로 7722같은 경우는 또 이렇게 말하기도 한다; 칠칠 둘둘. 010-4478-9987에 가운줄(하이픈)은 어떻게 읽을까?

전화번호 말하기 대화문 연습하기

A: 여보세요(Hello), 거기 김 철수 씨네 핸드폰인가요? B: 아닌데요. 잘못 거신 거 같아요. A: 아, 거기 번호가 010- 8657-9974 아닌가요? B: 아, 제 번호는 뒷번호가 9987입니다. A: 아, 죄송합니다. 제가 번호를 잘못 눌렀네요.

전화번호 말하기 대화문 연습하기

위의 예문처럼 잘못된 전화 걸기로 말하기 연습을 해 본다. 두 사람씩 돌아가면서 A, B의 역할을 해 본다.

한국말로 시간 읽기

이번에는 시간을 읽는 방법을 알아보자. 예를 들어 1:30 pm이라고 하면 우리는 오후 한 시 삼십 분이라고 읽는다. pm: 오후 am: 오전 hour는 시라고 읽고 minute은 분이라고 읽는다. 시 앞에는 한국어로 읽고 분 앞에는 한자어로 읽는다. 아침, 저녁이라는 말을 앞에 붙여서 am, pm을 대신하기도 한다.

한국말로 시간 읽기

시간 읽기 연습을 해 보자. 선생님이 숫자를 불러주고 학생들이 시간 읽기 연습을 해 본다.

한국말로 시간 묻고 답하기 연습하기

학생들끼리 혹은 선생님과 학생이 시간에 대해서 묻고 답한다. A~씨(님), 지금 몇 시에요?(몇 시입니까?) B: 지금은 ~시~분입니다. 지금은 오전(오후), 혹은 아침, 저녁 등을 붙여서 다양하게 연습을 한다.

요약(Summary)

1. 한국어로 숫자 세는 법을 배웠다. 2. 한국어로 1부터 100까지 셀 수 있다. 3. 한국어로 나이를 말할 수 있다. 4. 한국어와 한자어로 다르게 나이를 말할 수 있다. 5. 한국어로 전화번호를 읽을 수 있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6. 한국말로 시간을 읽을 수 있다.

By undefined

17 notes ・ 18 views

  • Korean

  • Element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