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t 27, 2022
[Korean Idiom] 한국어 관용구: 신체 관련 표현들
Small Talk Time
여러분 어제 제가 게임을 하다가 승부욕이 발동돼서 이를 악물고 했더니 이겼어요!
학습목표 (Learning outcomes)
①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신체 관련 표현들을 알 수 있다.
② 한국인들과 대화할 때 더 풍부한 표현으로 대화할 수 있다.
1. 어깨가 '무겁다'.
📑 The meaning of the Idiom
어깨가 무겁다: 무거운 책임을 져서 마음에 부담이 크다.
[One's shoulder is heavy: to feel a sense of burden and responsibility as someone undertakes a difficult and important task.]
🔖 When we use
책임감이 무거워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Used when someone is stressed because of the heavy responsibility he/she has to take.]
🗣︎ Let's Practice
현 수: 나 이번에 부장님께서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팀장 역할을 맡겨주셨는데, 할 일도 많고, 부담감도 엄청 심한 것 같아.
민 정: 그래, 팀장이라는 명칭이 주는 압박감이 있긴 하지. 어깨가 무거우니 고생도 많이 하겠지만, 열심히 해보자!
현 수: 그치.. 이번 기회로 승진할 수도 있으니까 열심히 해봐야지!
민 정: 그래~ 승진하면 나한테도 한 턱쏴라 현수야~
현 수: 먹고 싶은 거 딱 생각해둬! 승진하면 바로 가자 :)
민 정: 오늘부터 현수 프로젝트 잘 마무리돼서 승진하라고 물 떠놓고 기도해야겠다~
✅ Tip
'어깨가 무겁다'라는 표현의 반대 표현은 '어깨가 가볍다'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책임감이 많이 느껴지는 사람에게 '어깨가 무겁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어깨가 가볍다'라는 표현은 책임감이 많이 느껴지지 않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ex. 내가 맡은 업무가 중요한 업무라서 어깨가 무거워.
나는 이번에 자료조사만 하면 돼서 어깨가 가벼워서 좋아.
🗐 Quiz Time
다음 중 '어깨가 무겁다'라는 관용구를 잘못 쓴 상황은?
① 친구들이 내가 사는 동네에 놀러 온다고 해서 맛있는 맛집과 핫플레이스들을 데려다 줘야 해서 어깨가 무겁다.
② 선생님이 짜주신 조별 역할에서 나는 깍두기 역할이라 어깨가 가벼워.
③ 아버지는 가정에서 토끼 같은 자식들과 여우 같은 아내를 먹여 살려야 해서 어깨가 무거우시다.
④ 어머니께서 마트에서 물건을 많이 사셔서 물건들을 들 손이 없다고 전화로 말씀하셨다. 그래서 어머니를 도와드리러 갔다가 하도 많이 들어서인지 어깨가 무거웠다.
2. 가슴이 '아프다'.
📑 The meaning of the Idiom
가슴이 아프다: 슬프거나 안타깝다.
[One's chest is hurt: be hear-broken.]
🔖 When we use
어떤 일 때문에 슬프고 안타까울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Used when someone feels sad and painful about something.]
🗣︎ Let's Practice
현 수: 민정아 표정이 너무 안 좋아 보이는데 무슨 일 있어?
민 정: 나 어제 키우던 강아지가 무지개다리를 건너서 가슴이 너무 아파...
현 수: 세상에... 키우던 강아지랑 20년을 함께 했는데 너무 슬프겠다...
민 정: 어제 하루종일 아무것도 못 먹었어..
현 수: 기운차리고.. 꼭 좋은 데 가서 잘 놀고 있을 거야...
🗐 Quiz Time
다음 중 '가슴이 아프다'라는 관용구를 올바르게 쓴 상황은?
① 오늘 기현이가 나에게 비싼 랍스터를 사준다고 해서 가슴이 너무 아프다.
② 어제 체해서 오늘 토를 많이 했더니 가슴이 너무 아프다.
③ 수학 시험에서 100점을 맞았더니 너무 기뻐서 가슴이 아프다.
④ 친구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슬퍼하는 친구를 보고 있으니까 내 가슴도 아프다.
3. 이를 '악물다'.
📑 The meaning of the Idiom
이를 악물다[Grit one's teeth]:
① 힘에 겨운 곤란이나 난관을 헤쳐나가려고 비상한 결심을 하다.
[to make an exceptional determination to overcome hardships and obstacles.]
② 매우 어렵거나 힘든 상황을 애써 견디거나 꾹 참다.
[to endure hard or difficult situations with strained patience.]
🔖 When we use
어려운 일이나 상황을 참고 견길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Used when enduring difficulties and hardships.]
🗣︎ Let's Practice
현 수: 와 대박 대박 이번에 제빵사 시험에 합격했어!
민 정: 헐 진짜? 이 악물고 공부하더니 너 결국 해냈구나?
현 수: 나도 드디어 빵을 만들 수 있는 자격증을 얻게 된다니. 너무 행복해!
민 정: 이제 빵집 사장님 되는 거야? 나 빵 공짜로 좀 주라~
현 수: 당연하지, 내가 바게트빵, 단팥빵 말만 하면 다 해주지~
🗐 Quiz Time
다음 중 '이를 악물다'라는 관용구를 올바르게 쓴 상황은?
① 상인이는 이를 악물고 숨을 쉬고 있다.
② 예서는 집이 부도가 나서 매우 힘든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이를 악물고 하루종일 아르바이트하면서 돈을 벌고 있다.
③ 기현이는 로또에 당첨돼서 좋은 집과 차를 사서 이를 악물었다.
④ 나는 사랑니를 빼고서 피가 많이 나서 거즈로 이를 악물었다.
4. 허리가 '부러지다'.
📑 The meaning of the Idiom
허리가 부서지다[One's back is broken]
① 어떤 일에 대한 부담이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다.
[to become unable to cope with something because it is very burdensome.]
② 당당한 기세가 꺾이고 재주를 펼 수 없게 되다.
[to become unable to do what someone actually can do and his/her high spirits are taken down.]
③ 몸시 우습다.
[being so funny.]
🔖 When we use
힘들게 일할 때, 매우 웃길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Used when someone is working so hard in a difficult condition or when something is really funny.]
🗣︎ Let's Practice
현 수: 와 민정아 너 유튜브 '짤툰'이라고 알아? 나 진짜 이거 볼 때마다 웃겨서 허리 부러질 것 같아.
민 정: 어? 너도 그거 보는구나! 그거 진짜 재미있지 않아? 국밥충도 너무 웃기고, 상여자, 짐승 친구들 다 너무 재밌더라.
현 수: 나 짐승 친구들 볼 때마다 진짜 웃겨 죽겠어.
민 정: 나는 특히 상여자가 너무 재밌어. 볼 때마다 허리 부러질 것 같아.
🗐 Quiz Time
다음 중 '허리가 부러지다'라는 관용구를 잘못 쓴 상황은?
① 추석과 설날과 같은 명절에는 전국의 며느리들이 허리가 부러지도록 일한다.
② 어제 밭에서 허리를 너무 오랫동안 숙이면서 고구마를 캐다 보니까 허리가 부러질 것 같아.
③ 어제 친구랑 술 먹고 대화하는 너무 웃겨서 허리가 부러지는 줄 알았다.
④ 우리 오빠는 어제 술 먹고 넘어져서 허리가 부러져서 지금 병원에서 수술 중이다.
5. 혀를 '차다'.
📑 The meaning of the Idiom
혀를 차다: 마음이 언짢거나 유감의 뜻을 나타내다.
[Kick one's tongue: to express one's displeasure or regret]
🔖 When we use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표현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Used when someone is not happy about something.]
🗣︎ Let's Practice
현 수: 나 어제 시험 성적이 나와서 부모님께 드렸는데 아무 말도 없이 혀만 차시고 방에 들어가시더라...
민 정: 헉... 시험 많이 못 봤어...?현 수: 이번 시험 기간에 맨날 친구들이랑 술 마시면서 놀다 보니까 공부할 시간이 없더라고...
민 정: 야 현수야, 나도 혀를 치면서 방에 들어가겠다. 시험 기간에는 공부했어야지~
현 수: 부모님이 많이 화나신 거 같은데... 다음번에 더 잘 보면 되겠지!
🗐 Quiz Time
다음 중 '혀를 차다'라는 관용구를 올바르게 쓴 상황은?
① 세계 수학 경시대회에서 1등을 한 민정이를 보고 모든 사람이 축하해주면서 혀를 찼다.
② 술에 취해서 길에 쓰러져있는 20살 대학생들을 보고 어른들이 혀를 차면서 지나가셨다.
③ 동생이 어머니의 심부름을 잘 해와서 나는 혀를 찼다.
④ 'ㅊ'발음이 어려워서 혀를 더 세게 찼다.
6. 얼굴이 '두껍다'.
📑 The meaning of the Idiom
얼굴이 두껍다: 부끄러움을 모르고 염치가 없다.
[Have a thick face: to be shameless and unscrupulous]
🔖 When we use
부끄럽거나 창피한 것을 모르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Used to refer to people who are shameless and unscrupulous.]
🗣︎ Let's Practice
현 수: 나 어제 너무 어이없는 일을 겪었잖아 민정아.
민 정: 무슨 일인데?
현 수: 어제 지하철을 타고 집에 가고 있었는데, 임산부석에 어떤 아주머니가 앉아 계시더라고. 근데 그 앞에 임산부가 서 있었는데도 모른 척하시고 계속 앉아 계시더라고.
민 정: 세상에... 너무 한 거 아니야? 얼굴도 두꺼우시다..
현수: 그니까!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자기가 다리 아프다고 임산부석에 앉아 계시는지...
민정: 임산부석을 위한 자리는 임산부를 위한 자리인데... 에고...
✅ Tip
'얼굴이 두껍다'라는 표현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은 '낯이 두껍다'라는 표현입니다.
ex. 저 아주머니는 낯이 두꺼워서 자신의 행동이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알바생한테 해코지하신다.
🗐 Quiz Time
다음 중 '얼굴이 두껍다'라는 관용구를 올바르게 쓴 상황은?
① 오늘 지나가던 어르신의 무거운 짐을 들어준 청년의 얼굴이 두껍다.
② 어제 분장을 해야 해서 화장을 너무 두껍게 했더니 얼굴을 너무 두껍게 화장해버렸다.
③ 내 얼굴은 친구 얼굴보다 얼굴이 두꺼워서 슬프다.
④ 내 동생은 얼굴이 두꺼워서 항상 부모님에게 거짓말을 한다.
복습퀴즈 (REVIEW)
다음 중 빈칸에 들어갈 올바른 관용어는?
① 우리 남편은 나와 우리 아들, 딸을 먹여 살리기 위해 매일 돈을 벌러나간다. 그의 어깨가 매우 'ㅁㄱㅇ'보인다.
② 나는 토익시험에서 990점을 받기 위해서 이를 ㅇㅁㄱ 공부하고 있다.
By undefined
22 notes ・ 244 views
Korean
Advan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