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v 28, 2022
Reading Korean News Articles [3]
학습 목표 LEARNING OUTCOMES
1. 한국 신문을 이해하며 읽을 수 있다.
You will be able to read Korean News articles.
2. 독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You will be able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3. 발음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You will be able to improve your pronounciation skills.
목차 Table of Contents
0. 그냥 읽기 & 발음
Reading & Pronunciation
1. 단어 & 표현
Key words & Expressions
2, 기사 읽기 & 설명
Reading & Explaination
3. 기사 듣기
Listening
4. 한 줄 요약 하기
Summarize the article in one or two sentences.
단어&표현 KEY WORDS & EXPRESSIONS
조사: survey
식습관: eating habit
에너지 섭취량: energy intake
탄수화물: carbohydrate
구성: composition
저탄고지: LCHF (low carbohydrate high fat)
회상하다: recall
기사 읽기 READING COMPREHENSION
[제목]
밥은 덜 먹고, 고기는 더 먹고… 10년 새 바뀐 우리 국민 식습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0년 새 쌀은 덜 먹고 고기는 더 먹는 식습관으로 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at less rice but more meat. Over the past 10 years, Our eating habits have changed.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ays we eat less rice and more meat over the last 10 years.
우리 국민 에너지 섭취량이 7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열량 중 탄수화물의 비중은 줄었고 지방의 비율은 늘었다.
South Korea's energy intake has declined for seven consecutive years. The percentage of carbohydrates in our diet has decreased while that of fat has increased.
질병관리청 2021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세 이상 국민의 하루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859칼로리다(남성 2129, 여성 1576). 2012년 2001칼로리, 2015년 2103칼로리였다가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KCDC, it was found that ,as of last year, the average daily energy intake of people over 1 year old was 1859 calories (male 2129, female 1576). It was 2001 calories in 2012 and 2103 calories in 2015, and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every year since then.
전체 에너지 섭취량이 줄어들면서 에너지 구성에도 변화가 있었다. 탄수화물의 비중이 2012년 64.9%에서 2021년 59.4%로 줄었다. 반면 지방의 비중은 같은 기간 20.4%에서 24.6%로 늘었다. 단백질의 경우 남성은 2012년 15.1%에서 2021년 16.4%로, 여성은 14.4%에서 15.5%로 늘었으나 변화 폭이 크지는 않았다.
As total energy intake decreased, there was also a change in energy composition. The share of carbohydrates decreased from 64.9% in 2012 to 59.4% in 2021.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fat increased from 20.4% to 24.6% over the same period. In terms of protein, the amount of intake among men increased from 15.1% in 2012 to 16.4% in 2021 while the amount among women stay stagnant from 14.4% to 15.5%.
지난 10년 사이 나타난 '저탄고지'(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습관은 쌀 등 곡류 의존도가 낮아지고 육류 섭취가 늘었기 때문이다. 1인당 하루 곡류 섭취량은 2012년 299g에서 지난해 265g으로 줄었고, 육류 섭취량은 113g에서 123g으로 늘었다. 채소와 과일 섭취량은 각각 283g에서 245g으로, 172g에서 116g으로 줄었다.
Over the past 10 years, low-carb, high-fat eating habit have been growing popular. it is thanks to lower dependence on grains and higher intake of meat. Grain intake per person per day decreased from 299g in 2012 to 265g last year, while meat intake increased from 113g to 123g. Vegetable and fruit were consumed less from 283g to 245g and from 172g to 116g, respectively.
에너지 섭취량이 필요 추정량의 75% 미만이면서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라빈 섭취가 모두 평균 필요량에 못 미치는 '영양 섭취 부족자'는 2012년 11.9%에서 지난해 16.6%로 증가했다.
The number of people whose energy intake is less than 75% of the estimated need increased from 11.9% to 16.6% last year. (calcium,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intake are below average needs)
이 연구는 매년 1세 이상 국민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통계조사다. 식품 섭취량 조사는 조사 전 날 섭취한 음식의 종류 및 양을 회상해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This is a health statistics survey conducted annually of 10,000 people. The food intake survey is conducted by recalling what they had and how much the day before the survey.
전문 The Full Article [읽기 & 듣기]
[제목]
밥은 덜 먹고, 고기는 더 먹고… 10년 새 바뀐 우리 국민 식습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0년 새 쌀은 덜 먹고 고기는 더 먹는 식습관으로 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 에너지 섭취량이 7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열량 중 탄수화물의 비중은 줄었고 지방의 비율은 늘었다.
질병관리청 2021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세 이상 국민의 하루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859칼로리다(남성 2129, 여성 1576). 2012년 2001칼로리, 2015년 2103칼로리였다가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전체 에너지 섭취량이 줄어들면서 에너지 구성에도 변화가 있었다. 탄수화물의 비중이 2012년 64.9%에서 2021년 59.4%로 줄었다. 반면 지방의 비중은 같은 기간 20.4%에서 24.6%로 늘었다. 단백질의 경우 남성은 2012년 15.1%에서 2021년 16.4%로, 여성은 14.4%에서 15.5%로 늘었으나 변화 폭이 크지는 않았다.
지난 10년 사이 나타난 '저탄고지'(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습관은 쌀 등 곡류 의존도가 낮아지고 육류 섭취가 늘었기 때문이다. 1인당 하루 곡류 섭취량은 2012년 299g에서 지난해 265g으로 줄었고, 육류 섭취량은 113g에서 123g으로 늘었다. 채소와 과일 섭취량은 각각 283g에서 245g으로, 172g에서 116g으로 줄었다.
에너지 섭취량이 필요 추정량의 75% 미만이면서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라빈 섭취가 모두 평균 필요량에 못 미치는 '영양 섭취 부족자'는 2012년 11.9%에서 지난해 16.6%로 증가했다.
이 연구는 매년 1세 이상 국민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통계조사다. 식품 섭취량 조사는 조사 전 날 섭취한 음식의 종류 및 양을 회상해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한 줄 요약하기
Let's summarize the article in one or two sentences.
토론 Discussion
[1] 여러분들의 식습관은 어떻게 되나요?
정리하기 REVIEW
1. 최신 뉴스 기사를 읽어봤습니다.
2. 기사를 읽고 잘 이해했는지 한 줄 혹은 두 줄로 요약을 해 보세요.
By undefined
16 notes ・ 263 views
Korean
Intermediate